그림으로 이해하는 AWS 구조와 기술

지은이의 말 (오가사와라 시게타카, 2019년 10월 9일)
역주) 국내도 공공 정보 시스템을 2025년까지 클라우드로 전환할 예정
세은: 현재 얼마나 진행되었을까?
관련 기사:
발행처 | 발행일자 | 발행부서 | 기사 내용 |
대한민국 정책 브리핑 |
2021-07-26 | 행정안전부 | 2025년까지 모든 행정·공공기관 정보시스템 클라우드로 전환 |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890709#policyNews | |||
한국무역협회 | 2024-03-04 | 무역뉴스 | 공공 시스템 클라우드 전환율 27.9%…올해 365개 전환 |
https://www.kita.net/board/totalTradeNews/totalTradeNewsDetail.do?no=82237&siteId=1 |

세은: 국가차원에서 클라우드 사용을 권장하고 지원한다는 사실을 "그림으로 이해하는 AWS 구조와 기술" 책을 읽으면서 처음 알게 되었다. 클라우드를 사용하지 않으면, 굳이 알 필요가 없다고 생각해왔는데, 정부 주도로 SW 시스템을 온프레미스에서 클라우드로 전환한다고 하니, 백엔드 개발자로서 클라우드를 대해 꼭 알아야만 하는 이유를 알게 된 것 같다.
옮긴이의 말 (성창규, 2021년 4월)
클라우드의 시작:
- 2006년 8월, 아마존은 Amazon EC2(Elastic Compute Cloud)를 출시;클라우드 컴퓨팅의 시작
- 2008년 10월, 마이크로소프트는 Azure를 출시; AWS 외 또 다른 선택지를 제공
기업들은 AWS와 Azure 등을 이용해 기존의 온프레미스 시스템을 클라우드 환경으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1.1.1 아마존 웹 서비스란
AWS(Amazon Web Services)는 인터넷 쇼핑몰의 대명사인 아마존의 자회사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AWS는 물리적 서버와 네트워크 자원을 소유하거나 관리할 필요 없이 필요한 만큼 빌려 사용하는 서비스를 제 공한다.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란?
- 물리적 하드웨어 자원(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을 인터넷을 통해 임대하여 사용자가 필요할 때 언제든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다.
- AWS의 주요 서비스:
- Amazon EC2: 가상 서버 제공
- Amazon S3: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
- Amazon RDS: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 Amazon Lambda: 서버리스 컴퓨팅 서비스
AWS의 서비스 범위:
- 컴퓨팅,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킹, 분석, IoT, 개발자 도구, 보안 등 다양한 카테고리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단일 플랫폼에서 모든 IT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다.
1.1.2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서비스 일체 제공
AWS는 웹사이트나 기업의 업무 시스템을 운영하는 데 필요한 거의 모든 기능을 제공한다. 과거에는 서버를 임대받아 운영 체제,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등을 직접 설치하고 관리해야 했다. AWS는 이러한 모든 요소를 통합하여 제공한다.
웹 사이트나 업무 시스템을 운영하는 데 필요한 기능 :
- DNS 서버
- 라우터
- 서버
- 웹 서버
- DB 서버
- OS
AWS 주요 서비스:
- Route 53: DNS 관리 서비스
- 라우터
- 서버
- Amazon EC2: 가상 서버 제공
- Amazon RDS: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 AMI: 서버 OS
- AWS Lambda: 코드 실행을 위한 서버리스 컴퓨팅
세은: 웹사이트나 기업 업무에 무엇이 필요할까?
세은: 과거 AWS 사용하지 않을 땐, 어떻게 웹서비스를 운영했을까.
- 과거의 서비스: 전통적인 호스팅 서비스나 IDC(Internet Data Center) 서버 임대가 있었다. 이러한 서비스는 물리적 서버를 직접 관리해야 했고, 자원 확장이 제한적이었다.
세은: 현재에는 클라우드 서비스 중 AWS말고 어떤 서비스가 존재할까.
- 현재의 경쟁 서비스:
- Microsoft Azure: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플랫폼
- Google Cloud Platform (GCP): 구글의 클라우드 플랫폼
- IBM Cloud, Oracle Cloud 등도 경쟁 서비스로 꼽힌다.
세은: 왜 다른 클라우드 서비스가 아니라 AWS를 사용할까? Azure와 비교.
AWS의 장점:
- 단일 플랫폼에서 모든 인프라 관리 가능
- 글로벌 서비스 제공
- 다양한 서비스 연동을 통해 유연한 시스템 구축 가능
세은: Cloud 서비스 중 AWS 비중은 얼마나 될까.

https://www.cloudzero.com/blog/cloud-computing-market-size/
Cloud Computing Market Size And Key Insights (2024 REPORT)
Cloud computing is not the future — it is the here and now, and the following 33+ cloud computing market statistics say a lot.
www.cloudzero.com
1.1.3 서비스를 조합하기 쉽다
AWS는 수많은 서비스를 제공하여 복잡한 시스템을 구축할 때에도 필요한 모든 기능을 AWS 서비스로 조합할 수 있다. 여러 버시스를 조합하여 구축하기도 쉽다. 특히 서비스를 서로 연동하는 부분은 매년 강화되고 있다.
또한 AWS와 AWS 외부의 시스템, 네트워크를 연동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서버의 일부만 AWS를 사요하거나 사내 LAN과 AWS를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세은: 어떻게 조합하기 쉽다는 걸까?
AWS 서비스 조합의 용이성:
- AWS는 컴퓨팅,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킹 등의 서비스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mazon EC2와 Amazon S3를 조합하여 웹 서버와 파일 스토리지를 구축할 수 있다.
AWS 외부 시스템 연동 예시: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온프레미스 데이터 센터와 AWS를 VPN으로 연결하여 일부는 사내 시스템에서, 나머지는 AWS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 멀티 클라우드 전략: 기업은 AWS와 Azure, GCP를 동시에 사용하여 특정 서비스나 지역에 따라 최적화된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
1.1.4 종량제 요금제
종량제란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는 요금제를 의미한다. AWS는 사용자가 현재 필요한 만큼의 자원만을 할당받고, 실제 사용량에 따라 비용을 지불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종량제의 장점:
- 초기 투자 비용이 없음
- 자원 사용량이 급격히 변할 때 유연하게 대응 가능
세은) 종량제에 사용 제한을 추가할 수 있을까?
- 비용 관리 방법:
- AWS Budgets: 비용 예산을 설정하고, 이를 초과하지 않도록 경보를 받을 수 있다.
- Cost Explorer: 서비스별 사용량과 비용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분석할 수 있다.
1.1.5 전문가가 아니어도 사용할 수 있다
AWS는 네트워크나 서버 관리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도구를 제공한다.
쉬운 사용성:
- AWS Management Console: 직관적인 웹 기반 인터페이스
- AWS CLI: 명령어 기반의 클라우드 관리 도구
- AWS SDKs: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원하여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지원
세은) 책에서는 AWS를 쉽다고 소개하고 있는데, 개인적으로는 AWS를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사용하려니 너무 어렵게 느껴졌고, 그래서 Women in Spring을 통해 스터디를 시작하게 되었다. 혼자 AWS로 서버 설정할 수 있도록 공부할 계획이다.
1.1.6 한국어 및 원화 결제 지원
AWS는 대부분의 서비스에서 한국어를 지원하며, 원화 결제를 통해 편리한 비용 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한국 내 전담팀이 예산 견적 및 시스템 도입 관련 상담을 지원 한다 .
AWS 도입을 지원하는 APN(Amaxon Partner Network) 파트너 기업도 있다. APN 은 AWS 기술, 프로그램, 전문 지식, 도구를 활용하여 고객을 위한 솔루션과 서비스를 구축하는 글로벌 커뮤니티다.
파트너사 정보:
- 2021년 기준 GS네오텍, 메가존클라우드, 베스핀글로벌 등이 AWS 공식 파트너사로 활동 중이다.
세은) 현재 기준 AWS 공식 파트너사는 어딜까?
- 현재의 파트너사: AWS 공식 웹사이트에서 최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https://partners.amazonaws.com/ko/

세은) TMI. 전직장은 Microsoft 파트너사로, 클라우드팀 내 M365, Azure 사용 관련 상담 담당 그룹이 있었다.
1.1.7 보안 기준
AWS는 전 세계의 보안 및 규제 기준을 준수하며, 한국에서도 ISMS 인증을 획득하여 정보보호 관리체계를 준수하고 있다.
세은) Compliance 예시는 뭐가 있을까
Compliance 예시:
- GDPR: 유럽의 개인정보 보호 규정
- HIPAA: 의료정보 보호 규정
- SOC 2: 서비스 조직 컨트롤 감사
세은) ISMS가 뭘까.
ISMS란?
- 정보보호 관리체계: 기업이 정보보호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수립하는 일련의 관리적, 기술적, 물리적 보호 조치.
세은) CSA가 뭘까.
CSA란?
- Cloud Security Alliance: 클라우드 컴퓨팅 보안을 위한 국제 표준과 권장사항을 제공하는 단체로, AWS는 CSA의 권장사항을 따른다.
1.1.8 글로벌 확장이 쉽다
AWS는 데이터 센터를 전 세계적으로 21개 지역의 66개 가용 영역에서 운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글로벌 서비스로 쉽게 확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지리적으로 가까운 리전을 선택하여 낮은 지연 시간과 높은 성능을 누릴 수 있다.
세은) 데이터센터는 어떤 국가와 가용 영역에서 운영되고 있을까.
- 데이터 센터 운영 지역:
- 아시아: 서울, 도쿄, 뭄바이, 싱가포르 등
- 북미: 버지니아, 오리건, 캘리포니아 등
- 유럽: 프랑크푸르트, 런던, 파리 등
- 오세아니아: 시드니
각 지역은 물리적 위치에 따라 고유의 규제와 요구 사항을 충족한다. 한국에서는 서울이 AWS 서비스 제공의 중심지다.
해당 게시글은 Women in Spring 에서 진행하는 AWS 스터디 기록이다.
최근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AWS 공부 필요성을 느껴 스터디를 만들게 되었다.
스터디를 통해 함께 하는 멤버들 모두 AWS에 대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길 바란다.
#Women-in-Spring #2024-11-완독-그림으로-이해하는-aws-구조와-기술

'개발도서 > 그림으로 이해하는 AWS 구조와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 AWS의 도입 방법 (3) | 2024.11.08 |
---|---|
1.4 AWS의 사용 방법: 누구라도 쉽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0) | 2024.11.07 |
1.5 AWS의 도입 사례 (0) | 2024.11.07 |
1.3 AWS의 비용: 초기 비용은 저렴하지만 운영 비용이 조금 비싸다 (0) | 2024.11.06 |
1.2 AWS의 서비스: 165개 이상의 서비스 제공 (1) | 2024.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