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는 서비스에 따라 요금 체계가 다르다. 하지만 공통적인 서비스에는 종량제를 도입하고 있어서 '사용한 서비스 1개당 금액 + 사용한 분'의 과금 형태가 많다.
향후에 필요하지만 지금은 필요없는 자원으르 확보해 둘 필요가 없다. 최소로 필요한 만큼만 준비해서 시작하고 필요할 때 늘리면 된다.
종량제로 예산을 잡기 어려울 경우, 불필요한 자원을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나중에 증설이 가능하므로 앞으로 어느 정도가 필요할지를 예측할 필요도 없다.
1.3.2 대표적인 요금 체계
서비스
요금 체계
Amazon EC2
Amazon S3
Amazon RDS
Amazon CloudWatch
Amazon EBS
Elastic IP
DynamoDB
1.3.3 AWS 요금 산출 방법
-
1.3.4 AWS 요금의 장점과 단점
AWS는 초기 비용(initial cost)가 들지 않는 대신 운영 비용(running cost)가 들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정액제 임대나 자사에서 준비하는 편이 저렴할 수도 있다. 또한, 최저 요금이 있는 요금 체계도 있고, 사용하느 서비스 1개당 요금이 발생하는 체계도 있다.